부동산이야기

아파트 가격 7주 연속 상승 추세 - 본격적인 상승의 시작일까?

머니포차 2023. 9. 1. 11:11
반응형


아파트 값 7주 연속 상승세

전국 아파트값이 계속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8월 4주 차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6% 상승, 전세 가격은 0.07% 상했습니다. 지난 1년간 추세를 봐도 하락세를 멈추고 점진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본격적인 반등을 말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처럼 보입니다만, 7주 연속 상승했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겠습니다. 시도별로는 서울과 경기가 0.13%, 0.12%로 각각 상위권에 속했고, 지방은 보합이거나 마이너스를 기록한 지역도 존재합니다. (전라남북도, 광주, 부산, 제주)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반등이 시작되었다 볼 수 있을까요?


본격적인 반등의 시작?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아직 희망적으로 생각할 때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는 건 맞지만, 거래량을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7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3,571건으로 6월에 비해 279건이 줄어들었습니다.

 

8월도 비슷하거나 더 줄어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비수기인 데다, 최근 호가가 크게 올라 매수세가 확연히 줄었기 때문입니다. 기준 금리가 동결되었다고 하지만, 시중 은행의 주택 담보 대출의 금리가 6%를 넘어가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 다시 하락세...시장에 매물 쌓이나?

[에너지경제신문 김다니엘 기자] 정부의 전방위적 규제완화와 집값 하락 영향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지난해 10월 이후 9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3..

m.ekn.kr

 

 

하지만, 긍정적인 시각도 있습니다. 자잿값과 인건비 상승이 분양가 상승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LH 발 순살아파트 사태로 건설사들이 몸을 사리고 있고, GS건설은 영업정지에 들어갔습니다. 전체적으로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최근 핫했던 50년 만기 주담대 역시 조기 종료되는 데다, 특례보금자리론 대출 가능 자금이 크게 줄어들고 있다는 것도 매수심리를 자극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본격적인 상승이라고 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기대감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당분간은 관망세를 유지하면서 국제 경기 변화와 정부의 정책에 귀 기울이는 게 현명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금융의 세계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지만, 올바른 지식과 가이드가 있다면 누구나 잘 다룰 수 있습니다. '머니포차'는 여러분의 신뢰할 수 있는 동반자가 되어 드립니다. 다음 글에서도 다양한 정보와 팁을 공유하며 여러분의 금융 성장을 응원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